의료보험 카드 납부방법

각종 세금 발급방법|2017. 1. 4. 15:30

의료보험 카드 납부방법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의료보험증에 관한 내용입니다. 만약에 의료보험료가 미납이 되었다면 제 글을 읽고 간편하게 납부하시기 바랍니다. 


요즘은 인터넷으로 할 수 없는게 거의 없을 정도입니다. 민원24에서 주민등록등본, 전입신고서 홈택스에서 세금조회 및 납부까지 말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의료보험료가 미납되었을 경우 납부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내용입니다. 의료보험료는 사실 직장에 다니면 자동으로 월급에서 빠지기 때문에 미납이 될 가능성이 거의 없습니다. 다만 자영업을 하는 개인소득자일 경우에 문제가 될 수 있고 또한 부모님이 안계시는 소년/소녀 가장에게 납부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미납이 될 경우 불이익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의료보험료 카드로 납부하는 방법이라고 적었는데 모두 모아서 정리를 하겠습니다.

 

 

인터넷사이트에 국민건강보험공단이라고 입력하고 검색합니다. 납부를 하기 위해서는 어차피 로그인이 되어야 하니 먼저 로그인을 마무리해줍니다.

 

 

본인의 공인인증서가 반드시 필요하며 없을 경우 인터넷으로 카드납부를 할 수가 없습니다. 그림에서 보이는 곳에 주민번호를 입력하고 공인인증서 본인인증을 클릭하면 공인인증서가 뜹니다. 그리고 기타 보안프로그램 설치까지 끝내도록 합니다.

 

 

 
로그인이 되었으면 화면 오른쪽 중간에 사회보험 통합징수포털이 보입니다. 파란색부분을 클릭합니다.
 
 

통합징수포털에서 왼쪽에 보이는 납부할보험료 조회/선택을 클릭합니다. 사업장민원서비스가 아니라 개인민원서비스에 있는 곳입니다.

 
 
그러면 위와같이 미납된 요금이 보입니다. 저는 모두 납부를 해서 보이지가 않지만 의료보험이 미납이 되었다면 보일 것입니다. 위 하면 아래에 보험료와 결제방법 선택 > 결제진행 > 결제결과 확인으로 보이는 순서가 보입니다.

 

 

위 이미지에서 화면 가장 아래로 내려가면 납부방법에 관한 내용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만약에 미납된 요금을 납부하겠다면 제가 1, 2, 3, 4로 표시된 은행즉시이체, 카드납부, 가상계좌발급요청, 인터넷지로사이트 바로가기 네 가지 방법으로 납부할 수 있습니다.



1. 은행즉시이체일 경우에는 신한과 기업은행 계좌를 갖고 있는 사람만 가능하며 납부시간은 23:30분까지 입니다.

2. 신용카드 납부는 수수료가 1%가 포함되어 결제가 되고 체크카드 역시 수수료가 1% 붙습니다.

3. 가상계좌를 통한 납부는 기업, 국민, 외환, 농협, 우리, 우체국, 하나, 신한, 대구, 부산, 광주, 전북, 경남은행에서 가능하며 역시 23:30분 까지 납부가 가능합니다.

4. 인터넷지로 납부일 경우에는 www.girp.or.kr로 가입해서 공인인증서 로그인 후 보험료를 납부 할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