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카메론

카테고리 없음|2017. 3. 23. 20:00

데카메론



데카메론에 쓰인 소재는 실로 광범위하다. 대개는 중세 이탈리아의 황금 당나귀와 중세 프랑스의 잠언이나 전설, 동방의 민간 이야기, 역사적 사건, 궁정 안의 스캔들, 골목에 떠도는 한담, 당시 피렌체 등지에서 일어났던 실제 사건과 실제 사람을 그 소재로 삼고 있다. 


어떤 소재에 보카치오가 인문주의라는 새로운 이념을 주입함으로써 이 신랄하고 유머러스한 이야기를 탄생시켰다. 이 작품의 특징은 세상을 떠들썩하게 만들었으며 인류 문학사상 유례없는 대운동-르네상스를 가져왔다.



데카메론은 신성한 교회에 대놓고 창끝을 들이대면서 교회 수도승의 여러 악행들을 맹렬하게 비판하고 낱낱이 폭로했다. 또한 이 작품은 중세의 금욕주의에도 용감하게 도전장을 내밀었다. 그래서 데카메론 전체에 신흥자산계급의 인문주의의 빛이 빛나고 있다.


1353년 출판된 이 작품은 순식간에 유럽을 휩쓸었다. 그 당시 뿐만 아니라 그 후의 르네상스와 18세기 계몽운동까지도 이 작품은 대단한 영향을 미쳤다. 작가 역시 인문주의의 선구자로 알려져 있으며 문예부흥운동을 이끈 최초의 대표 인물이었다. 어떤 여러가지 이유로 이 작품은 서양 뿐 아니라 전 세계 문학사상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데카메론은 서유럽 단편 소설의 물고를 틀었으며 유럽 문화사상 첫 번째 현실주의 걸작으로 꼽힌다. 그 이야기 형식에서도 후대 많은 작가들의 작품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초서, 세익스피어, 라풍덴, 몰리에르 등은 자신들의 작품에 데카메론의 일부를 직접 인용하기도 했다. 


데카메론은 정교한 필체와 풍부한 언어로 인물의 심리가 잘 그려져 있고 자연 묘사도 뛰어나 이탈리아 산문 창작에 기초가 되었다. 물론 역사 속의 여느 우수 작품들과 마찬가지로 데카메론 역시 시대의 낙인을 피해가지 못했다는 한계성을 가지고 있다. 


보카치오 자신이 봉건 세력과 그 사상에 대해 투쟁을 벌였으면서도 한편으로는 타협하고 후퇴하는 모습도 보여주었다. 봉건적인 설교 분위기가 짙은 부분과 적나라한 애정 묘사가 바로 그런 예이다. 


작가가 적극적으로 주장했던 겸손과 순종의 미덕, 그리고 남존여비같은 낙후된 생각은 비판이 필요한 부분이다. 그러나 당시로서 이 작품이 보여준 수준 높은 사상은 어느 누구도 따라하기 힘든 부분이었다.


이 책은 출판되면서부터 계속해서 봉건 로마 교황청의 미움을 받았으며 소각되기도 했다. 그러나 그 작품에서 나오는 빛은 계속해서 사람들에게 사상해방이라는 길을 비춰주고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