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청약종합저축 이율과 금리, 소득공제 조건 완벽 정리

각종 세금 발급방법|2017. 3. 23. 17:00

주택청약종합저축 이율과 금리 그리고 소득공제 조건



2009년 5월에 나온 이후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자가 작년 기준으로 2천만 명이 넘었다고 하는데요, 우리나라 인구로 봤을 때 40%에 달하는 사람이 가입한 저축 상품입니다. 


하지만 주택청약종합저축 통장을 제대로 아는 사람은 드문데요, 금융상품으로서도 장점을 가지고 있는 청약통장을 잘만 활용한다면 훌륭한 재태크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주택청약종합저축 이율과 금리 그리고 장점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주택청약종합저축 통장을 만드는 이유는 간단히 말해서 내 집 마련을 위함입니다. 청약 대상을 자세히 살펴보면 공공임대와 국민임대, 진세임대와 민영주택의 청약이 가능하지만 민영주택인지 국민주택인지에 따라서 방법에 차이가 있습니다.



만약에 공공택지지구나 LH에서 분양하는 국민주택을 고려하고 있다면 청약저축 금액과 납입 횟수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므로 매월 빠지지 않고 납입하는 것이 당첨 확률을 높일 수 있고 절세혜택과 금리효과도 있는 통장이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주택청약종합저축 이율과 금리을 살펴보겠습니다.


1. 주택청약종합저축 이율과 금리



주택청약종합저축 이율과 금리는 연 1.0% ~ 1.8%인데요, 각각의 시기별로 다릅니다. 

1개월 미만 : 0%

1개월 초과 ~ 1년 미만 : 연 1.0%

1년 이상 ~ 2년 미만 : 연 1.5%

2년 이상 : 1.8%


이율은 변동금리를 적용하기 때문에 정부의 고시에 의해서 변동 될 수 있으면 변경 시 각 납부 회차별 변경일 기준으로 변경 후 금리가 적용됩니다. 그런데 금리가 너무 낮지만 일반 시중 은행보다 조금 높으니 쓸만합니다. 



2. 소득공제 조건


주택청약종합저축은 무주택자에 한해 납입금액의 40%를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는데요, 다만 연 240만원 한도내에서 적용이 되고 총 소득이 7,000만원 이하라면 가능합니다.


3. 가입 대상 및 기타 정보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 대상은 대한민국 국민 또는 외국인 거주자며 가입서류는 주민등록증 또는 운전면허증으로 신분을 증명할 수 있는 신분증이면 괜찮고 재외동포일 경우에는 국내거소 신고증, 외국인은 외국인 등록증만 있으면 신청이 가능합니다.


적립금액은 매월 2만원 이상 50만원 이하의 금액을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으며 잔액의 여부에 따라 자유롭게 적릭을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주택청약종합저축 이율과 금리 또 가입 대상과 가입 서류까지 살펴봤는데요, 주택청약종합저축과 관련된 은행은 우리은행, KB국민은행, 기업은행, 농협, 신한은행, 하나은행 등이 해당되니 궁금한 점은 은행에 연락하시기 바랍니다.



댓글()